광고
광고
광고
뉴스 > 문화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노작홍사용문학관, 계간 ‘백조’ 봄호 통권 제5호 발간
‘영끌 사회’에 대한 통렬한 진단, 대안 고민 담아
 
김중근 기자 기사입력 :  2021/03/09 [17:50]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노작홍사용문학관이 계간 백조봄호 통권 제5호를 발간했다.

 

근대 낭만주의 문예 동인지 백조의 바통을 이어받아 지난 2020년 겨울 100여 년 만에 복간된 이후 두 번째다.

 

계간 백조는 문예 동인지 백조의 문학 정신과 문학의 공공적 가치를 지켜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통권 제4호에 이어 봄호인 제5호에도 혁신적인 내용을 담았다.

 

2021년 봄호의 테마격인 ‘Flow’영끌 사회이다. 오늘날 청년들은 영혼까지 끌어 모아서 주식 투자를 하거나 주택 장만을 위해 노력한다.

 

영끌 사회대출에 의존한 삶의 생산과 재생산이 추구되는 사회라고 요약할 수 있다. ‘영끌 사회에서는 모든 사회적 관계망이 채권과 채무 관계로 재편된다.

 

봄호 Flow에서는 영끌빚투로 얼룩진 한국 사회의 초상을 이찬희, 홍정훈, 김요섭, 소유정, 한다옹, 양다솔의 글과 사진을 통해 담고자 했다.

 

홍정훈의 집 없는 청년의 영혼이 지워진 사회영끌 사회대한 사회 과학적 분석을 수행하며, 청년의 정치적 권리를 회복하기 위한 이론적 모색을 시도한다.

 

김요섭의 누구도 믿지 않지만, 모두가 믿는 어떤 미래는 계층 상승의 희망이 사라진 현실 속에서 벌어지는 수평 착취의 사회모순을 파헤친다.

 

소유정의 시적 공간과 주체성의 영토를 둘러싼 공간이 주체성의 영토와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 집과 방으로 대표되는 주거 공간의 축소와 상실에서 우리의 영역을 확보하려는 시적 분투를 살핀다.

 

한다옹의 함께 산다는 것은 공동 주거 실험의 경험을 담고 있는 수기다. 필자는 함께 산다는 것의 의미가 비용 분담을 넘어, 대안적 공동체를 상상하고 실현해 나가는 것임을 역설한다.

 

양다솔의 일력日力은 서울 한복판에서 혼자 살만한 작은 집을 마련하는 행위가 1인 가구 여성에게 어떤 것들을 포기하게 하거나 포기하지 못하게 하는지를 담담하면서도 무겁게 서술하고 있다.

 

란은 김선오, 김윤배, 박은숙, 신해욱, 이문재, 이영광, 임승유, 한여진의 작품으로 채워졌다. ‘소설란은 김유담과 이원석의 단편 소설을 담고 있다.

 

이번 봄호 키워드 리뷰의 키워드는 재난이다. 압도적인 재난 앞에서 인간들이 지켜가는 명랑한 일상을 그린 해변에서와 절망적인 재난 앞에서 벌어지는 불평등을 조망하는 재난 불평등을 소개한다.

 

김중근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신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