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 칼럼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손택수 시인칼럼 10] 담쟁이넝쿨의 생존법
 
화성신문 기사입력 :  2023/11/03 [18:55]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손택수 노작홍사용문학관 관장     ©화성신문

    담쟁이넝쿨의 생존법

 

    승한

 

    벽을 만나면 벽이 되고요

    담장을 만나면 담장이 되고요

    집을 만나면 집이 되고요

    나를 만나면 내가 되고요

 

    쓰레기를 만나면 쓰레기를 먹고요

                                 죽은 나무를 만나면 죽은 나무를 먹고요

                                 죽은 자전거를 만나면 죽은 자전거를 먹고요

                                 썩은 우물을 만나면 썩은 우물을 삼키고요

 

                                 먹는 대신 쓰레기에도 심장을

                                 먹는 대신 죽은 나무에게도 심장을

                                 먹는 대신 죽은 자전거에게도 심장을

                                 삼킨 대신 썩은 우물에도 심장을

 

                                 심장을

                                 심장을

                                 녹색 심장을

                                 켜로 달아주고요

 

                                 나도 담쟁이넝쿨처럼 너를 삼키고 싶고요

                                 나도 담쟁이넝쿨처럼 너를 먹고 싶고요

                                 나도 담쟁이넝쿨처럼 너를 품어주고 싶고요

 

                                 너에게도 심장을

 

                                 심장을

 

                                 심장을

 

                                 숨을

 

                                 앗, 다시 담장을 넘어가야 할 시간이네요!

 

                                 너를 타넘어야 할 시간이네요!

 


 

 

  (『불교문예』 2023년 봄호)

 

* ‘나’라고 고집할 만한 것이 따로 없다. 생동하는 관계들 속에서 늘 새로운 내가 태어나기 때문이다. 나에 대한 집착이 없는 담쟁이를 만나 벽도 담장도 집도 심지어는 기존의 나까지도 미처 자신들이 알아채지 못한 신생의 주체로 재탄생을 경험한다. 아상(我相)으로부터 자유로운 담쟁이에겐 죽음이나 쓰레기, 부패 같은 지극히 인간 중심적인 관념도 없다. 쓰레기도 죽은 나무도 자전거도 부패한 우물도 일용할 양식이며 우주의 벗들이다. 유용성이나 실용성에 묶인 세간의 관념을 여의었으니 만물에 응하는 천수관음의 관계론이 살아난다. 말하자면 이것이 생명의 삶을 살아가는 자의 심장이다. 담쟁이넝쿨은 폐기된 사물들의 뛰는 심장을 되찾아준다. 이제 담장은 장애가 아니라 창조의 매개자다. 부처님도 아마 그런 뜻에서 자식을 “라훌라자토(Rahulajato)” 즉, ‘장애’라 이름 짓지 않았을까. 장애가 있어야 장애물 건너뛰기 선수의 도약과 승화가 일어난다. 장애는 끝없이 발견해야 할 대상이다. 말의 보폭이 담쟁이 넝쿨 뻗어가듯 리드미컬하고 길차다. 벽돌에 갇힌 말들이 심장 박동음을 내는 것 같다. 화두 외엔 아무것도 없는 삼매의 상태가 아닌가. 호흡의 극치에서 일어나는 순수한 마음의 실재로서의 숨결이 담쟁이넝쿨을 형용할 수 없는 아름다움 속에 있게 한다. 선지식으로서의 담쟁이넝쿨, 녹색 심장이 단풍으로 한창일 때다. 화장을 하면 가장 늦게까지 타는 게 심장이라고 한다. 모든 것이 재로 바뀐 뒤에도 생명의 노래를 부르고자 하는 이 시 또한 그러할 것이다. 오랫동안 세간의 처처를 치열하게 살다가 출가를 한 시인을 통해 확장 중인 시와 선시의 합일을 본다. 어쩌면 시인에겐 시마저 장애일 것이다. 장애 앞에서 자유자재한 담쟁이넝쿨의 문하에 들어 한 시절 수련을 해도 좋겠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신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