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부터 시작된 기록적인 폭설로 인해 화성시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기아 오토랜드 화성 1, 2공장의 가동이 멈추기도 했고, 일부 지역에서 정전이 일어나며 불편을 겪기도 했다. 비닐하우스 붕괴 등 농어촌 지역의 피해도 적지 않았다.
화성시는 폭설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력을 다했다. 27일 00시부터 재난대책본부를 가동했고, 본청 전 부서와 29개 읍면동 직원들은 비상 근무에 나섰다. 관내 147개 덤프트럭과 굴삭기, 221명의 제설인력을 동원하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경제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출퇴근 혼잡 기관에 대한 점검과 대응을 강화하고, 경사가 있는 언덕길 등에 대해서도 선제적 조치에 나선 것은 물론 큰 피해가 우려되는 비닐하우스 농가와 축산농사에 대해서는 전수조사를 지시하기도 했다.
정명근 시장도 27일 피해 현장을 찾은 자리에서 “재난 상황은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것으로 조금만 더 힘내 위기 상황을 함께 극복하기 위해 힘써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기초지자체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폭설 대응에는 한계를 들어냈다. 제설차 등 장비는 턱없이 부족했고, 제설인력도 한계에 봉착했다. 현장 근무에 투입된 공직자들의 피로도는 가중됐고, 오히려 남성 공직자 위주의 작업으로 인한 내부 불만까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폭설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좋은 수단은 제설장비와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지만 쉽지만은 않다. 전반적인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사상 초유의 폭설로 인해 대응방안을 마련한다면서 막대한 예산을 소요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난기금 활용에도 한계가 있다. 폭설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서는 예산 확보가 필수적이지만 역시 한계에 봉착해 있는 것이다.
반면 이번 폭설뿐 아니라 하절기 집중 호우로 인한 피해도 계속되면서 온실가스 증가 등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얼마나 커질지 아무도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예산을 최소화하면서도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조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어느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 관뿐 아니라 민간이 함께 힘을 합쳐야만 피해의 최소화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폭설,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피해 예방과 복구를 위한 민관 협력기구가 절실하다.
관이 주도를 하되 민간이 협력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번 폭설 사태를 계기로 화성시 차원의 대처에 안이한 점은 없었는지 냉철하게 되돌아보고, 민관 합동의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100만 화성특례시의 새로운 현안이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