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특례시 진입에 앞서 화성시의 가장 큰 현안은 바로 일반구 설치다. 정명근 화성시장 역시 지난 7월 23일 국장단회의에서 “화성특례시에 걸맞은 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일반구 설치를 민선 8기 후반기 가장 시급한 과제로 우선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화성시가 특례시 출범을 앞두고 일반구 신설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는 것은 효율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기존의 읍면동 체제로는 특례 화성시의 폭발하는 행정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고, 주민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시는 이미 지난 3월 특례시추진단을 설립하고 일반구 설치를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한 바 있다. 화성시는 용역과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4개 일반구 설치 구획안을 마련했지만 공개 이후 주민들의 반발에 직면했다. 특히 서남부권 주민들의 반발이 거셌는데 이는 최근 개최된 4차례의 권역별 시민설명회에서도 확연히 드러났다. 화성시 동부권인 3권역과 동탄권인 4권역의 주민들은 대체적으로 화성시의 설치 구획안에 대해 수긍하는 모습이었다. 물론 2권역에 배정된 기배동과 정남면을 3권역으로 옮기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현행 3권역 포함 지역에 대한 불만은 적었다. 문제는 화성시 농어촌지역이 다수인 1권역과 2권역이었다. 특히 1권역은 화성시 전체 면적의 절반이 넘고, 화성시 전체 읍면동의 1/3이 넘는 서신면, 마도면, 새솔동, 남양읍, 우정읍, 장안면, 팔탄면, 향남읍, 양감면 등 10개가 포함됐다. 어지간한 기초지자체보다 넓은 지역을 하나의 구로 묶으니 당연히 불만의 목소리가 컸다. 특히 임시청사를 향남읍에 마련하겠다는 화성시의 발표에 대해서 강력히 반발했다. 새솔동이나 송산면, 서신면 등 화성시 서부 해안가나 북부지역에서 향남읍으로 이동하기가 너무 힘들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특히 대중교통이 열악한 상황에서 이처럼 구역을 획정할 경우 행정 효율성이 오히려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서로 다른 지역 정서도 문제다. 서부권 송산면, 서신면, 마도면은 조선시대 남양도호부가 속했던 남양반도로 불렸다. 이러한 남양반도 주민들은 향남, 양감, 우정, 장안 주민들과 다른 정체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주민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화성시의 일반구 획정안은 이러한 지역 특성과 정체성, 이동의 불편함을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고 비난했다. 2구역도 마찬가지다. 농업 분포가 큰 비봉면과 매송면을 봉담읍과 묶는 것 역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비봉면, 매송면을 1권역과 같은 농어촌 지역으로 묶어야 한다는 주민들의 항변이다.
화성시는 4개 권역에 대한 시민설명회를 마무리했다. 이에 화성시의회의 의견을 청취하는 과정에 이어 경기도, 행정안전부에 일반구청 신설을 공식 신청하게 된다. 그러나 정흥범 화성시부의장이 1권역 설명회에서 지적했듯이 화성시의회에서도 지역별 시의원 간 권역 구분을 놓고 논란이 예상된다.
일반구는 선거구와는 다른다. 선거구는 인구 증감에 따라 매번 조정되면서 유동성있게 변화된다. 그러나 일반구는 한번 획정하고 나면 추후에 변경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선정 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고 공감도를 높이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1, 2 권역 설명회에서 주민들은 화성시가 주민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고 구역안을 마련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화성시는 이러한 주민들의 의견을 무시하지 말고 수렴된 의견을 심도있게 고려해 가장 효율적이고 시민의 행정 편의성이 높은 방안을 마련해야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