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 사설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설] ‘지속가능한 먹거리 자치도시’의 꿈
 
화성신문 기사입력 :  2020/11/09 [11:17]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먹거리 기본권을 보장하고 지역 먹거리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화성시 먹거리 위원회의 출범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그동안의 먹거리는 생산 위주의 정책이 핵심이었다.

먹을 것이 부족한 상황에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든지 생산량을 높이는 것이 당면 과제였던 우리에게 남은 것은 지력(地力)을 다해가는 논밭과 온갖 농약으로 가득찬 농산물이었다.

우리 농업은 선진국 모임인 OECD 평균보다 질소 사용량은 3.2배, 농약은 14.3배, 에너지 사용량은 34배를 더 사용하고 있다. 생산에 주력한 나머지 환경과 건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친 셈이 된 것이다.

그나마 우루과이라운드 등 계속되는 압박으로 인해 우리 농산물이 설 자리는 점점 더 사라져 가고 있다.

해외 농업 메이저들의 득세와 저렴한 중국 농산물의 유입 확대로 인해 우리 식량 자급률은 23%까지 떨어졌다.

우리는 일본과의 무역 분쟁에서 반도체에 사용하는 불소가 무기로 사용되는 상황을 겪었다. 다행히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써 반도체 산업이 위축될 위기는 해소됐지만 이 과정에서 온 국민은 한 산업의 무기화가 얼마나 무서운지를 깨닫게 되었다. 농업분야에서도 무기화의 위협은 크다.

일례로 어느 한 국가와의 분쟁 중 밀가루 수입이 중단됐을 것을 가정해 보자. 제과·제빵산업의 고사 등 상상이 불가능할 정도의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 

 

화성시가 먹거리 위원회를 설립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먹거리 자치도시’를 꿈꾸는 것은 이러한 측면에서 칭찬받아 마땅한 일이다. 우리 시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먹거리를 관내에서 생산하고 손쉽게 시민들이 소비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는 계획도 적극 환영하는 바이다. 다만 화성시 먹거리 위원회를 운용해 나가는 과정에서 농업 분야의 전문가들은 농업인들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가야 한다.

화성시 이외에도 전국에서 먹거리 위원회를 설립하고 새로운 문화 조성을 시도했지만 성공한 케이스는 드물다. 대부분 현장의 목소리보다는 학계와 관계의 의견에 힘을 실어줬기 때문이다.

화성시의 농업을 가장 잘 알고 특색을 고려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가는 바로 우리 화성시 농민들이다. 이들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할 때에 ‘지속가능한 먹거리 자치도시’의 꿈의 달성은 가능할 것이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신문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목록
광고
광고